티스토리 뷰

메리츠화재 실비 자기 부담금 확인

메리츠화재 실비보험 가입하신 분들 중에 병원 갈 때마다 자기 부담금이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청구하고 나오는 금액을 보고 대략 알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명확한 기준으로 금액을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해서 정리하였습니다. 메리츠화재가 아니더라도 실비보험 가입 시점 기준으로 세대가 구분되고 그 세대에 따라서 자기 부담금이 다릅니다.

 

1. 실비보험 자기 부담금 기준표

한눈에 알기 쉽게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실비보험은 4세대까지 있습니다. 세대 구분은 가입 시점으로 나뉩니다. 따라서 본인이 언제 가입했는지를 안다면 자기 부담금이 얼마인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세대별로 자기 부담금은 아래 표 맨 오른쪽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실비 세대 기준 세대 구분 시점 자기 부담금
1세대 이전부터 09년 9월까지 입원비 없음
통원비, 조제비 5천 원
2세대 09년 10월부터 17년 3월까지 입원비, 통원비
급여는 10%, 비급여는 20%
혹은 병원 등급별 자기 부담금 중 큰 금액
(의원 만 원, 종합병원 1.5만 원, 상급종합병원 2만 원)
조제비 8천 원
3세대 17년 4월부터 21년 6월까지 입원비와 통원비는 2세대와 동일
조제비는 급여 10%, 비급여 20% 또는 8천 원 중 큰 금액
4세대 21년 7월부터 현재까지 급여는 20%와 병원 등급별 금액 중 큰 금액
비급여는 30%와 3만 원 중 큰 금액

2. 메리츠화재 실비보험 자기 부담금 확인 방법

이제 위 표와 본인 실비보험 가입 시점만 안다면 자기 부담금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가입시점을 확인할 수 있을까요?

 

보험증권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혹시라도 증권 확인할 방법이 없다면 아래 바로가기에 가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가입한 보험 모두를 확인할 수 있고 그중에서 메리츠화재 실비 가입 시점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본인이 몇 세대인지 알 수 있고 자기 부담금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가셔서 조회하기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가입한 보험 결과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메리츠화재 실비 가입 확인 방법입니다.

반응형
댓글